상단 이미지
전기계 동향
총 : 553건
에너지전환 무색케하는 ESS 연쇄 화재…대책 여전히 ‘無’
등록 : 2019-01-2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구글플러스

-성윤모 장관 "ESS로 생산·저장한 전기 거래하는 전력중개시장 2월 개설 계획"발표

-20건 가까운 ESS 화재 대책은 언급 안해...같은날 또 ESS 화재 발생, 올해만 4번째

-산업부 "원인 규명과 해결 어렵다...관련 체계 전반적으로 뜯어 고치겠다" 반복

▲21일 오전 울산시 남구 대성산업가스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불이 나 건물 밖으로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


정부가 재생에너지 보급과 관련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계속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화재가 이어져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지난 21일 에너지업계 신년인사회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ESS로 생산·저장한 전기를 중개사업자가 모아 거래하는 전력중개시장을 2월에 개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속되고 있는 ESS화재에 대한 대책 언급은 없었다. 심지어 같은 날 오전에도 ESS화재가 발생해 48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2017년 8월 첫 사고 이후로 21번째, 올해에만 벌써 4번째다.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자 정부는 지난해 11월 긴급 대책을 발표, 국내 1300여개 ESS 사업장 전체에 대해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비 제조사인 LG화학, 삼성SDI, 한국전력 등은 자체 진단에 나섰다. 제조사 자체 진단이 어려운 사업장은 국가기술표준원 등 민관합동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가 직접 조사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률은 약 70%로 알려졌다. 다만 아직까지도 사고 원인은 명확히 발표되지 않고 있다. 
     
에너지업계 신년인사회서 만난 정부 측 인사는 "아직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발표하지 않은 만큼 의견을 밝히기는 조심스럽다"면서도 "현재 ESS 화재의 원인은 배터리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통합시스템 양쪽에 다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에는 ESS통합시스템 관련 제도가 없는 상황"이라며 "관련 제도가 미비하다 보니 업계 역시 안전관련 기술을 ‘패싱’한 채 설치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특정 업체 제품에서 연달아 불이 나자 한 업체의 문제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아직은 업체의 기술이 대동소이하다. 업체 간 기술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앞으로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을 보완해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신규 설비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 측은 "참고할 사례가 없어 원인 규명과 해결이 어렵다"며 "일련의 사고를 계기로 안전기준 마련 등 관련 체계를 전반적으로 뜯어 고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해당 기사의 원본 바로가기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십시오.

(or press ESC or click the overlay)

주소 : 우)08805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40(남현동 1056-17), 대표전화 : 1899-3838
Copyright 2016 Korea Electric Engineers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사업자번호:120-82-02744